와송(瓦松瓦松바위솔)
항암에 좋은 바위솔
항암작용(위암, 재발된 자궁암, 폐암, 설암, 뇌종양, 간암, 식도암, 후두암, 전립선암, 유암, 비암, 피부암, 갑상선암, 백혈병, 골수암 등), 토혈, 코피, 혈리(血痢), 학질, 열림, 치질, 옹종, 정창, 습진, 화상, 간염을 다스리는 와송
바위솔은 돌나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바위나 기와 지붕에 붙어서 자란다. 뿌리잎은 방석처럼 퍼지고 끝이 단단한 가시같이 된다. 줄기는 30cm 정도 높이로 자란다.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 죽는다. 줄기에 촘촘히 붙는 피침형 잎은 흔히 자줏빛이 돌고 끝이 뾰족하며 퉁퉁한 다육질이다. 9~10월에 줄기 끝의 수상꽃차례에 자잘한 흰색 꽃이 다닥다닥 달린다이때가 이때가 약성이 제일 좋으므로 전초를 채취하여 쓴다.포는 피침형이고 꽃잎과 꽃받침 조각은 각각 5개씩이다.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와송의 종류는, 바위솔, 둥근 바위솔, 좀바위솔, 흰좀바위솔, 좁은잎바위솔, 연화바위솔, 난쟁이바위솔, 울릉연화바위솔, 가지바위솔, 포천 바위솔, 정선 바위솔, 진주바위솔이 자라고 있다. 바위 및 각종 지붕, 담벽, 산야의 양지바른 경사지 및 암석, 돌위, 사찰 지붕에 자라고 있다. 오래된 지붕의 기와에 붙어서 자라는 소나무잎 또는 꽃과 같다고 하여 "와송(瓦松), 와화(瓦花)"라고 부른다. 또는 바위 위에 나는 소나무 모양이라 하여 "바위솔"이라고도 부른다. 중국의 <유독중초약대사전>에 의하면, 자궁경부암, 자궁암에 와송을 사용하였다. 그외 간암, 간세포, 위암세포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바위솔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있다.
[와송(瓦松) //바위솔// [본초]
돌나물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바위솔(Orostachys japonicus {Maxim} Berger)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바위솔은 각지의 바위 위나 오랜 돌각담 또는 오랜 지붕 위에서 자란다. 여름과 가을에 지상부를 뜯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시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간경, 폐경에 작용한다. 열(熱)을 내리고 해독하며 출혈을 멈추고 습(濕)을 없애며 부종을 내린다. 약리 실험에서 해열 작용이 밝혀졌다. 토혈, 코피, 혈리(血痢), 학질, 열림, 치질, 옹종, 정창, 습진, 화상 등에 쓴다. 간염에도 쓴다. 하루 15~30그램을 달임약, 알약 형태로 먹거나 신선한 것을 짓찧어 즙을 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거멓게 볶아 가루 내어 기초제에 개어 붙이기도 한다.]
중국에서 펴낸 <본초도감>에서는 바위솔을 이렇게 적고 있다.
"4가지 종류인 '낭조와송', '유소와송', '둔엽와송', '황화와송'이 나오는데, 우리나라에도 바위솔, 둥근 바위솔, 좀바위솔, 흰좀바위솔이 있다. 낭조와송은 산정상부, 산비탈의 암석이나 돌이 있는 마른 산비탈에서 자란다. 여름과 가을에 널리 채취하여 뿌리와 흙 등의 잡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은 oxalc acid가 들어있으며, 맛은 시고 평하며 독이 있다. 지혈작용과 통경작용이 있고 설사를 그치게하고 부스럼과 종기를 낫게한다. 혈변과 치질, 자궁출혈을 다스리며 악창과 부스럼등에 신선한 바위솔을 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하루 1.5~3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유소와송;높이가 10~40센티미터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암술이 분리되어 5개의 심피를 조성한다. 열매는 골돌이고 단원형이다. 지붕이나 담장과 돌위세서 자란다. 봄,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대량의 oxalic acid를 함유하고 있다. 맛은 시고 쓰며 서늘하고 독이 있다. 청열해독, 지혈, 이습, 소종한다. 토혈, 비뉵 즉 코피, 혈변, 간염, 학질, 창구구부유합 즉 오래낫지 않는 부스럼, 열림 즉 습열로 인한 소변붙통, 치질, 부스럼, 습진,얼굴악성종기,탕상 즉 끓는물에 데인 것을 치료한다. 하루 1~3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둔엽와송;둥근 바위솔이다. 2년생 초본으로서 수술은 10개이며 심피는 5장이다. 산비탈의 숲 속이나 돌이 많은 산비탈에서 자란다. 여름, 가을철에 캐내어 흙과 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성분은 Oxalic acid이 들어 있다. 맛은 시고 평하며 독이 있다. 지혈통경과 설사를 그치게하고 부르럼과 종기를 낫게한다. 혈변 출혈성 치질, 기능성 자궁출혈을 치료한다. 악창과 종기에 생것을 짓찧어 붙인다. 하루 1.5~3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황화와송:이년생 초본으로 일년된 것은 연꽃모양의 잎처럼 잎이 빽빽히 자라고 꽃받침 잎은 5장이며 수술은 10개이다. 산비탈의 돌틈에서 자란다. 여름,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맛은 시고 쓰며 서늘하다. 청열해독, 지혈, 이습소종의 효능이 있다. 토혈, 비뉵 즉 코피, 혈변, 간염, 학질, 열림 즉 습열로 인한 소변붙통, 치질, 부스럼, 습진, 얼굴악성종기, 탕상 즉 끓는물에 데인 것을 치료한다. 하루 15~30그램을 달여서 먹는다. 피부에 바를시는 적당한 양을 짓찧어 바른다.
바위솔 (瓦松)효능 활용법
바위솔은 여름, 가을에 그루 전체를 뿌리까지 뽑은 다음 뿌리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후 "와송"이라는 이름으로 약용한다.
바위솔은 바위 위에서 자라는 소나무 같다고 해서 "바위솔"이라고 하는데,
바위에 자라는 것을 "범 발자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름:와연화(瓦蓮花), 일본와송(日本瓦松), 와화(瓦花), 간적락(干適落),지붕지기
성질:바위솔은 맛이 시고, 쓰며, 성질은 냉하다.독은 없으며, 초산을 대량 함유하고 있다.
《동의보감》에는 "작엽하초"라고 명명하고 "오랜 기와집 위에서 난다.
멀리서 바라보면 소나무와 비슷하기 때문에 일명 와송이라고 한다"고 나와 있다.
일명 "지붕지기" 혹은 "지부지기'라고 하는데, 특히 옛 궁전이나 사찰, 모우,
고옥상의 기와지붕 위에서 자라기 때문에 "와탑'이라고도 하며, 하늘을 향해
자생하기 때문에 일명 '향천초'라고도 한다. 10월에 꽃이 맺혀 있을때 가장 약성이
좋으며 전초를 약용으로 한다.
잎은 연꽃 모양으로 조밀하며 자색을 띤 녹색으로, 힌 가루가 있고
살이 많아 두툼하며 끝이 뾰쪽하여 얼핏 보면 불가사리 모양이다.
바위솔은 일명"와화'라고 하는데 "와화'는 바위솔의 꽃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바위솔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분포지 : 전국 산지나 해변의 바위 개화기: 9~10월,
꽃 색 : 힌색, 결실기 : 10~11월
효능
항암 작용
분석한 결과 "아플라톡신B₁이라는 발암 물질을 죽이고, 암세포를 파괴하는 강한 항암 효과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초기 암의 증식을 막아 주는데,간암, 췌장암, 식도암, 위암 등 소화기 암을 비롯해서 유방암, 자궁암 등 부인과 암에 널리 응용된다.
설사나 이질
그래서 음식을 삭이지 못하고 설사(수곡리)하거나 피섞인 설사(혈리)를 할 때,항문에 열감을 느끼며 설사(열리)할 때 쓰인다.
심장과 혈관에 작용
심장수축을 강화하고 심박수를 감소시키며, 또한 혈관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취된 개 또는 토끼에게 엑스를 정맥 주사했더니 혈압이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가지만 신속히 회복되었다고 한다.
또 뿌리를 잘라 내고 잎이나 꽃을 찧어서 악성 종기, 벌레나 독사에게 물린 상처에 발라 해독약으로 쓴다.
지혈작용
따라서 토혈, 코피, 피 섞인 설사 등에 쓰인다.
습과 부종에
부종이나 관절의 부기, 발적, 통증에 쓰인다.
복용법
와송을 건조시킨 것을 달일 때는 되도록 진하게 달여서 드시는 것이 효과적이며, 건조시킨 와송 10g(하루)에 물 1되를 붓고 물의 양이 반으로 줄때까지 달여 3~5회 나누어 따뜻할 때 복용한다.
생즙은, 와송 생것을 1~2뿌리 넣어 생수 또는 요쿠르트 한컵을 넣어서 갈아 마신다.
토혈
와송을 돼지고기와 함께 달여서 복용한다.
코피를 자주 흘리때
신선한 와송 1,200g을 깨끗이 씻어 그늘에 말려서 짓찧어 가제로 짜서 즙을 낸다.
여기에 황설탕 20g을 녹을 때까지 잘 섞어 큰 자기 접시에 부어 굳을 때까지 햇볕에 말린 다음 1회에 2~4g을 1일 2회, 미지근한 물로 복용한다.
소아 경기
와송 20g을 물 500cc로 달여 반으로 줄면 하루동안 여러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폐렴
신선한 와송을 1회에 160~320g을 물로 깨끗이 씻어서 갈아 즙을 짠 다음 가열 1일 2회 복용한다.
열독, 숙취, 직장궤양 출혈
약즙과 술을 반반 섞은 와송 320g,백작약 20g 포강분말 20g을 절반이 되게 달여 공복에 마신다.
전염성 간염
와송80g,맥아40g,어린 버들가지 12g을 물 반되에 달여 반으로 줄여 1~2일 나누어 복용한다.
종기나 부스럼에는 와송 적당량에 소량의 식염을 가하고 짓찧어 수시로 환부에 골고루 바른다.
화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와송과 신선한 측백엽을 짓찧어 바른다.
습진의 경우에는 차 씨로 짠 기름에 와송을 함께 개어서 바르면 통증과 가려움이 멎는다.
뜸 뜬 자리의 흔적이 낫지 않는 경우에는 괴화나무가지와 파를 끓인 물로 환부를 씻은 다음 그늘에서 말린 와송을 가루내어 뿌린다.
와송주
재료 : 와송 200g, 소주 1.8ℓ
꽃이 필 무렵의 와송 전초를 잘라 물기를 제거한 후 용기에 소주를 부어
밀봉하여 6개월 이상 숙성시킨다.
효능
와송은 항암 효과가 있는 본초(本草)로 해열, 지열, 간염, 습진,화상 등에 특효가 있다.
금기사항
* 위의 기능이 차고 약한 경우에는 사용금지 *
'한방 > 한약재의 형태와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산삼보다 나은 신비의 약초-지초 (0) | 2009.02.14 |
---|---|
[스크랩] 말벌집의 효능 (0) | 2009.02.14 |
[스크랩] 지나칠수없는 약초들 (0) | 2009.02.14 |
[스크랩] 지나칠수없는 약초들 (0) | 2009.02.14 |
[스크랩] 하수오의 효능 (0) | 2009.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