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쟁이덩쿨의 효능 * 소나무를 감고 올라간 담쟁이 덩쿨입니다 이것 산에 가면 자주 보이지만 출고된지 오래된것은 약이 된다네요(사람이나 차 빼고는 오래된게 좋은가 봐요) . 아래 퍼온 글이니 참고하세요 *<요 밑에 약초꾼님이 쓰신 글(53번)-담쟁이 덩쿨에 대해 나와 있으니 중복되더라도 양해 하시고요> 담쟁이덩.. 한방/한약재의 형태와 효능 2008.12.29
곰보배추의 효능 현대 의학에서나 천식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거의 불치병으로 간주 한다 심한 기침이나 숨이 차고 답답하면 인탈(호흡기를 진정시키고 기도를 확장시켜주는 스프레이)을 하는 방법으로 대신한다 곰보배추와 백선은 기관지염이나 폐질환에 관해서는 하늘이 내린 신약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한방/한약재의 형태와 효능 2008.12.29
은행잎의 효능 은행 효소 담는법 은행잎 효소 담는 법 은행잎은 휴효성분이 가장 많은 시기는 9월부터 단풍들기 까지이다 단풍이든 잎은 약효가 없다 은행잎은 유독성이 있어서 소금물에 절였다가 다시 맹물에 씻어내는 이유가 소금에 녹은 유독성 물질을 빼내기 위함이다. 가을에 채집한 은행잎은 소금물에 3일 .7,8.. 한방/한약재의 형태와 효능 2008.12.27
짚신나물(선학초) 다른이름: 용아초, 낭아초, 선학초 식물: 높이 60~15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흰 털이 있다. 버들잎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의 쪽잎이 모인 잎이 어긋나게 붙는다. 가지 끝에 노란색의 작은 꽃이 모여 핀다. 각지의 산과 들, 길섶에서 자란다. 전초(용아초): 꽃필 때 줄기를 베어 햇볕에 말린다. 싹(낭아): 가.. 한방/한약재의 형태와 효능 2008.12.23
해당화의 효능 해당화 (매괴화) 원산지 한국 분 포 ▶일본, 사할린, 만주, 쿠릴열도, 캄차카에도 분포한다. ▶전국 해안가나 산기슭에서 자란다. 형 태 낙엽 활엽 관목 크 기 높이 1.5m 정도 자란다. 잎 잎은 호생하고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또는 타원상 도란형이고 예두 또는 둔두, .. 한방/한약재의 형태와 효능 2008.12.23
간단한 약차와 약술 만드는법 손쉽게 만드는 약차 약술 명 칭 채취시기 만 드 는 방 법 효 능 비 고 벚꽃차 3-4월 벚꽃을 씻어 물기를 없앤후 그늘에 말려 밀봉하여 보관한다. 비타민C가 풍부 녹차와 같은 방법으로 우려마신다. 동백꽃 술 3-4월 동백꽃의 먼지를 제거 후 6개월간 숙성, 설탕을 약간 넣어준다. 미용, 변비해소, 자양강장 .. 한방/한약재의 형태와 효능 2008.12.23
초석잠의 효능 초석잠(草石蠶), 토충초라고도 하며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석잠풀은 전세계 약 3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4개의 변종이 자라고 있다. 평안남도와 황해도에서 자라는 우단석잠풀이 있고 석잠풀, 개석잠풀, 털석잠풀이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거나 식용한다. 석잠풀은. 감로자(甘露子), 적로(.. 한방/한약재의 형태와 효능 2008.12.20
애기똥풀 손쉽게 구할수있는 약초 110. (애기똥풀) ▶ 항암작용, 억균작용, 위통, 황달, 부종, 옴, 헌데, 사교창, 기침, 기관지염, 위암, 식도암, 간암, 담도암, 피부암을 다스리는 백굴채 애기똥풀, 백굴채, 젖풀, 즙채라고도 한다. 아편꽃과의 다년생풀로 전국 각지의 낮은 산기슭이나 길섶 등에 흔하게 자라, 봄에 .. 한방/한약재의 형태와 효능 2008.12.11
으름덩굴 손쉽게 구할수있는 약초 109. (으름덩굴) ≪ 소변 잘 나오게 하는 으름덩굴≫ ▶ 항암작용(위암, 폐암, 식도암, 간암), 이뇨작용, 강심작용, 혈압을 높이는 작용, 염증을 없애는 작용, 위액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 여러 가지 원인으로 붓는 데, 요로결석, 소변을 잘 못 볼 때, 임증, 젖이 잘 나오지 않는 데, .. 한방/한약재의 형태와 효능 2008.12.11
수크령 손쉽게 구할수있는 약초 108. (수크령) ▶ 눈을 밝게 하며 혈액순환, 눈이 충혈되고 아픈 증상, 결막염, 폐열에 의한 해수, 창독, 열로 인한 기침, 해수로 인한 각혈을 치료하는 길거리의 땅지킴이 수크령 벼과 수크령속은 열대와 난대에 약 13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수크령, 흰수크령, 붉은수크령, 청.. 한방/한약재의 형태와 효능 2008.12.11